top of page

실리콘 밸리에서 찾는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성공 DNA!

트위터나 페이스북, 그루폰 그리고 링크드인은 세계가 열광하는 서비스를 만들어 성공한 스타트업이다. 닷컴 버블이 붕괴된 이후 다시는 오지 않을 것 같았던 IT의 봄날이 어느새 우리 곁으로 돌아와 전 세계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든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IT와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 회사를 운영하고 서비스를 만드는 데에는 자금이 많이 필요하며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절실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적인 서비스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들도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그들의 지나온 과거는 단순히 기삿거리로 지나칠 이야기가 아니었다. 놀랍게도 그들이 살아가는 사회가 빛나는 무대를 만들었다. 그리고 자신의 길을 걸어올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들이 받았던 사회적 DNA를 고스란히 전달하고 있었다. 실리콘 밸리가 오랜 세월이 흘러도 좀처럼 혁신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이유는 이렇듯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며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갔기 때문이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이젠 조금 진부하게 느껴지는 속담이 있다. 그들이 검증한 선순환의 시스템을 통해 창업자와 스타트업이 어떻게 육성되었으며, 생각을 실현하는 데 몰입할 수 있었던 요소는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걸어가야 할 방향과 길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그것은 우리만의 스타트업 DNA를 만들어 나가는 데 일조하는 일일 것이다.

사회적 DNA, 성공의 선순환 구조

대학을 졸업하거나 중퇴한 젊은 인재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연결하기 위한 열정에 불타오르곤 한다. 그렇지만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서비스를 만들고, 그들에게 기꺼이 지갑을 열고 제공받은 가치에 대해 적당한 대가를 요구하는 것은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깨닫게 된다. 작은 실패들이 반복되는 동안 쌓인 경험들은 더 나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토대가 되고 그들을 지켜보고 있는 투자가들로 하여금 투자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 된다.

생각의 일반화, 플랫폼의 시작

 

인터넷을 이용해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찾아 어떤 목적을 위한 힘을 모으고 적은 돈을 투자받아 실행에 옮긴다는 것은 대단히 복잡한 로직을 요하는 생각은 아니지만, 그전까지 누구도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참신한 아이디어였다.(그루폰, The Point)

페이팔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많은 사람과 기업은 회사를 창업하거나 새로운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 많은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빠른 사업 진입이 필요한 곳에서는 숙달된 전문가를 직접 영입해 막혀 있는 문제점을 빨리 푸는 것이 올바른 선택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신의 전공분야가 아닌 분야의 전문가를 찾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호프먼은 이 고민을 풀어줄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시장에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이 생각이 바로 오늘날 링크드인(LinkedIn)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p.22

p.33

p.153

심각한 서비스, No! 재미있는 서비스, Yes!

어차피 매일 가야 할 곳이고 자주 가는 곳이라면, 그곳에 내 이름을 남기고 싶은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일지도 모르겠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많은 사람 중에도 관광 명소를 가거나 명승지를 찾았을 때 수정액이나 볼펜, 커터칼 등으로 의자나 나무, 성벽 등지에 자신의 이름을 새겨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행동이 올바른 것은 아니겠지만, 그곳에 남겨진 다른 사람의 사연이 담긴 흔적들을 보고 있으면 왠지 모를 흥미진진함과 재미가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어쩌면 포스퀘어에 체크인을 하고 그곳에서 하면 좋을 일들을 To-Do에 남기는 것이 우리가 현실 속에서 행하는 평범한 일상과 상당히 닮아 있지 않을까?

p.103

즐거운 개발자가 만드는 즐거운 서비스

우리나라의 규율, 분위기만큼은 아니겠지만, 미국의 회사, 직장도 사무실에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규율, 분위기는 분명 존재한다. 그런데 그걸 더 부드럽고 편안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멋진 CEO가 있다는 사실은 마냥 부러워만 하기에는 너무 아쉬운 대목이다. 마음이 즐거운 직원들이 해내는 성과는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포스퀘어의 서비스 구석구석에서 느껴지는 장난기는 아마도 이런 그들의 사풍(社風) 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결과론적으로 접근해 볼 때, 사람들이 사랑스럽다(Lovely)고 느껴지는 서비스가 탄생한 원동력이라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p.109

p.217

창조와 도전, 그리고 성공의 선순환

우리는 1등에 대한 집념이 강하다. 가장 높은 위치에 서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기 때문에 수많은 기업이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제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런데 2등은 어떠한가? 2등이라는 것도 대단한 성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2등은 실패한 것이라고 낙인찍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도전의 실패가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를 한 번쯤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

p.303

"내 일"을 즐기고 "내일"을 만들어라!

언제까지 현실에 불만만을 표하면서 살아갈 것인가? 기껏해야 1백 년 살아가는 인생을 이렇게 보내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모두가 창업하고 새로운 도전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는 그 누구도 삶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편안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새로운 도전을 한다는 것은 내 일을 찾아서 그 목표를 설정하고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이런 노력은 지금보다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함일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
bottom of page